2024-06-26 18:13 (수)
전남농업기술원, 월동 왕우렁이 대부분 패사한 것으로 밝혀져
상태바
전남농업기술원, 월동 왕우렁이 대부분 패사한 것으로 밝혀져
  • 정진영 기자
  • 승인 2018.05.31 11:38
  • 댓글 0
이 기사를 공유합니다

방제효과 탁월한 유기농업자재도 선발

▲ 패사한 왕우렁이.

전라남도농업기술원(원장 김성일)은 지난겨울 이상저온의 영향으로 월동중인 왕우렁이가 대부분 패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.

친환경 벼 재배지역에서 제초제 대용으로 사용해오던 왕우렁이가 우리나라에서 월동이 가능해지면서 예기치 않았던 논으로 들어가 어린 벼를 갉아먹는 피해를 주는 사례가 최근 몇 년 사이에 서남해안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하였다.

전남농업기술원은 왕우렁이 피해가 상습적으로 발생하였던 고흥, 해남, 진도지역을 중심으로 도 친환경농업과와 합동으로 2차례 월동실태를 조사한 결과 도내 대부분 지역에서 월동중인 왕우렁이가 패사하여 산란된 알이 발견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.

왕우렁이는 –3℃에서 3일, -6℃에서 1일만 경과하여도 죽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, 국내에 도입된지 30여년이 지난 지금은 이보다 훨씬 낮은 기온에서도 생존할 수 있도록 적응된 것으로 추정된다. 그러나 지난겨울 이상저온이 오래 동안 지속된 결과 이 같은 결과가 나온 것으로 분석된다.

또한 왕우렁이 친환경방제 현장실증시험을 나주와 해남 2개소에서 시험한 결과 차추출물제 3kg/10a 처리는 99% 방제되었고, 황토유황 2,000배 처리는 92%의 방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.

친환경농업연구소 최덕수 연구사는 “금년에 월동 왕우렁이에 의한 벼 피해는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되지만, 만약 피해가 발생되더라도 효과적인 친환경 방제자재가 선발되었기 때문에 조기에 발견해서 대응한다면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”고 말했다.

/정진영기자


댓글삭제
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.
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?
댓글 0
댓글쓰기
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·계정인증을 통해
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.
주요기사